본문 바로가기
사색하기

인간이 거미줄에 하는 짓은 모두 그 자신에게 하는 짓이다.

by 이번생 2023. 3. 21.
728x90
반응형

 

 



인간은 삶이라는
거미줄을 짜는 거미가 아니라
그 거미줄을 이루는
한 올의 줄일 뿐이다.

인간이 거미줄에 하는 짓은
모두 
그 자신에게 하는 짓이다.

-시애틀 추장

 

 

 

 

 

위의 예문은 19세기 태평양 북서부의 수콰미시족과 두와미시족의 지도자인 시애틀 추장의 연설을 오역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초의 연설은 루슈트 시드 언어로 이루어졌으며, 이후 다양한 사람들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 그 연설에는 많은 다른 버전이 있고, 번역의 정확성은 학자들에 의해 논구된다.

삶이라는 인용문은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며 그것을 존중과 존경으로 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추장은 인간은 자연계와 분리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일부이며, 우리의 행동은 우리 자신뿐만 아니라 삶의 전체 그물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가지고 있다고 제안하는 것 같다. 그는 또한 인간이 자연계를 돌보고 조화롭게 살아야 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상호 연관성과 책임감이다. 그것은 우리가 이 행성의 유일한 거주자가 아니며 우리가 미래 세대를 위해 그것을 돌볼 책임이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준다.

시애틀 추장이 말한 상호연결성의 개념은 사실 전 세계의 많은 토착문화에서 핵심적인 신조이다. 이러한 문화들은 자연계의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어 있고, 인간은 더 큰 생명줄의 일부분일 뿐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이 생각은 지배적인 서양 세계관과는 대조적으로 인간을 자연계와 분리되고, 우월한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은 오염, 삼림 벌채, 그리고 기후 변화와 같은 많은 환경 문제들을 초래했다.

반면, 토착문화는 수세기에 걸쳐 자연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살아오면서 전통적인 생태학적 지식을 발전시켜 왔다. 이 지식에는 지속 가능한 농업, 토지 관리, 환경 보호와 존중을 우선시하는 수렵 및 어업 관행과 같은 관행이 포함된다.

우리가 지구 환경 문제에 직면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영감과 지침의 원천으로서 토착의 지혜와 지식에 눈을 돌리고 있다. 여기에는 전통적인 생태 지식을 증진하고, 토착민이 주도하는 보존 노력을 지원하며, 자연계와 조화롭게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 원주민 문화로부터 배우는 노력이 포함된다.

요컨대, 인간은 자연계와 분리되지 않고, 자연계의 일부라는 생각은 우리를 더 지속 가능하고 조화로운 미래로 인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생각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