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철학하기55

철학이 해야 할 일 철학이 해야 할 일가끔 저는 제 자신에게 이렇게 묻습니다.“철학이란 무엇일까? 그리고 철학자는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일까?”의사는 환자를 치료하고, 교사는 지식을 가르치며,법조인은 정의를 세웁니다.그렇다면 철학자는 세상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저는 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치며 이 질문을 자주 떠올립니다.학생들에게 강의를 하다 보면,어느 순간부터 제가 그들에게 철학을 ‘가르친다’기보다함께 ‘묻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제가 대학에서 처음 강의를 맡았을 때,가장 먼저 느낀 것은 “철학을 어떻게 살아 있는 언어로 전할까?” 하는 고민이었습니다.철학은 교과서 속에 갇혀 있지 않으니까요.책에 적힌 사상보다 더 중요한 것은,그 사상을 통해 ‘지금 이곳’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하는 태도입니다.어느 날 한 학생이 제.. 2025. 10. 19.
잃어버린 놀이를 찾아서 -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 잃어버린 놀이를 찾아서 -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인간은 왜 살아가는가.무엇을 위해 일하고, 무엇을 위해 웃으며, 또 무엇을 잃어가며 살아가는가. 네덜란드의 문화사가, 요한 하위징아는 여기에 아주 낯선 대답을 남겼습니다. “인간은 놀이하는 존재, 호모 루덴스(Homo Ludens)이다.”우리는 이 말을 듣는 순간, 약간의 당혹감을 느낍니다. 놀이? 그것은 아이들의 일 아닐까? 어른의 세계는 노동과 책임, 의무와 성취의 세계가 아니던가. 하지만 하위징아는 말합니다. “인간의 본질은 사유나 윤리가 아니라, 놀이에 있다. 삶의 근원에는 언제나, 자유롭고 자발적인 놀이의 힘이 숨어 있다.” 그는 노동과 놀이를 아주 간명하게 구분합니다. 노동은 수단과 목적이 분리된 행위, 놀이는 수단과 목적이 하나로 결합된 .. 2025. 10. 18.
천의무봉(天衣無縫) ― 꾸밈없는 완전함에 대하여 천의무봉(天衣無縫) ― 꾸밈없는 완전함에 대하여의미 있는 삶, 품격 있는 삶을 살아간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우리는 언제나 더 나은 결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더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애쓰지요.하지만 그 과정이 자연스럽고 아름답다면, 그것만으로도 참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진정한 아름다움은 완벽한 결과보다 자연스러운 과정 속에 깃들어 있기 때문입니다.예전에 미술을 가르치는 교수이자 화가를 다룬 TV 프로그램을 본 적이 있습니다.대학원생을 지도하는 장면이었는데, 한 학생의 작품을 한참 들여다보던 교수가 이렇게 말했습니다.“이것을 그리느라고 참 애썼구나. 그렇지?”학생은 자신의 노력을 알아주는 교수의 말이 고마웠던지 바로 대답했습니다.“예, 그렇습니다.”그때 교수는 잠시 그림을 바라.. 2025. 10. 18.
대승은 천국을 만들고 소승은 천국에 간다 대승은 천국을 만들고 소승은 천국에 간다낙원이나 천국은 가는 것이 아니라 만드는 것이다.낙원이나 천국은 가는곳이 아니라 만드는 곳이다. 신앙심이 돈독한 사람들은 현실세계와는 초연한 척, 거리를 두고 내세의 천국을 꿈꾼다. 이들은 겉으로는 좋은, 성스러운 사람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소승이다. 자기 자신의 구원에만 노력한다. 권력자들의 전횡 축출과 나쁜 경제•정치•사법제도의 개혁에는 관심이 없다. 그런 것은 악하고 부조리한 사바세계의 특징이므로 '그냥 멀리하는 것이 좋다'고 여긴다. 깨끗한 고가의 고급 천은 식탁을 닦는 데는 무용지물이다. 값싸고 더러운 걸레가 세상을 정화한다. 이 얼마나 아이로니컬한가? 힘들고 귀찮고 사익(私益,private interest)이 없어도, 새로운 제도하에서 혜택을 누릴.. 2025. 10.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