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철학하기47

나는 저 바람에 선동당하고 있다. - 조직되지 않은 존재에 대하여 나는 저 바람에 선동당하고 있다. - 조직되지 않은 존재에 대하여 어느 날한 자칭 맑스주의자가새로운 조직 결성에 함께하지 않겠느냐고 찾아왔다얘기 끝에 그가 물었다그런데 송동지는 어느 대학 출신이오? 웃으며나는 고졸이며, 소년원 출신에노동자 출신이라고 이야기해주었다순간 열정적이던 그의 두 눈동자 위로싸늘하고 비릿한 막 하나가 쳐지는 것을 보았다허둥대며 그가 말했다조국해방전선에 함께 하게 된 것을영광으로 생각하라고미안하지만 난 그 영광과 함께하지 않았다 십수년이 지난 요즈음다시 또 한 부류의 사람들이 자꾸어느 조직에 가입되어 있느냐고 묻는다나는 다시 숨김없이 대답한다나는 저 들에 가입되어 있다고저 바다물결에 밀리고 있고저 꽃잎 앞에서 날마다 흔들리고이 푸르른 나무에 물들어 있으며저 바람에 선동당하고 있다고.. 2025. 7. 16.
무지의 철학: 앎을 넘어 존재하는 삶에 대하여 무지의 철학: 앎을 넘어 존재하는 삶에 대하여1. 앎은 삶을 완전히 포착할 수 있는가? “인간은 앎을 통해 해방될 수 있는가?” 라는 계몽주의의 오래된 질문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우리는 이해하고자 하고, 설명하고자 하며, 투명하게 만들고자 한다. 그러나 한 가지 근본적인 역설은 여전히 남아 있다. 완전히 알려진 삶은, 이미 죽은 삶이라는 점이다. 앎은 대상의 구조를 밝히지만, 삶은 구조 이상으로 불확정적이고 모순적이며 자생적인 것이다. 살아 있는 것은 언제나 흔들리고, 불완전하며, 자기 자신에게조차 불투명하다. 그리하여 모든 것을 이해하고자 하는 의지는, 아이러니하게도 살아 있는 것의 깊이와 떨림을 제거하는 폭력으로 작동한다.2. 무지란 무엇인가: 니체의 경구에서 시작하여니체는 후.. 2025. 7. 16.
잠과 꿈의 폐지: 미래의 인간성과 감각의 몰락에 대하여 잠과 꿈의 폐지: 미래의 인간성과 감각의 몰락에 대하여“미래의 인간은 잠과 꿈을 비생산적인 요소로 간주하여, 마침내 그것들을 제거하려 할지도 모른다.“우리는 점점 잠을 미워하게 된다.우리는 점점 꿈을 낯설어한다. 그것은 쓸모가 없기 때문이다. 잠은 생산하지 않고, 꿈은 축적되지 않으며, 둘 다 결과를 예측할 수 없다. 효율과 성과를 숭배하는 체제 속에서, 인간은 점차 잠과 꿈을 “불필요한 생리적 낭비”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어느 날, 잠을 삭제하고, 꿈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1. 인간 이후의 인간: 깨어 있는 기계 이미 시작은 이루어졌다. ‘각성제 산업’은 수면의 필연성을 점차 우회하기 시작했고, AI의 발달은 우리의 무의식을 외주화하는 중이다. .. 2025. 7. 16.
🌹백만송이 사랑 – 하나님 나라를 향한 순례자의 노래 🌹백만송이 사랑 – 하나님 나라를 향한 순례자의 노래1.먼 옛날 어느 별에서내가 세상에 나올때사랑을 주고 오라는작은 음성 하나 들었지사랑을 할 때만 피는 꽃백만송이 피워 오라는진실한 사랑 할 때만피어나는 사랑의 장미미워하는 미워하는 미워하는 마음없이아낌없이 아낌없이 사랑을 주기만 할 때백만송이 백만송이 백만송이 꽃은 피고그립고 아름다운 내 별나라로 갈 수 있다네2.진실한 사랑은 뭔가괴로운 눈물 흘렸네헤어져간 사람 많았던너무나 슬픈 세상이었기에수 많은 세월 흐른 뒤자기의 생명까지 모두 다 준비처럼 홀연히 나타난그런 사랑 나를 알았네미워하는 미워하는 미워하는 마음없이아낌없이 아낌없이 사랑을 주기만 할 때백만송이 백만송이 백만송이 꽃은 피고그립고 아름다운 내 별나라로 갈 수 있다네3. 이젠 모두가 떠날지라도.. 2025. 7. 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