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철학하기35

한국산 AI, 엔비디아에 도전!” “이재명의 첫 행보엔 이유가 있다” 이재명이 간 이유는?“미래를 준비하는 정치인은 어디로 향할까요?” 2025년 4월 14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첫 공식 일정으로 한 스타트업을 찾았습니다. 그곳은 바로… 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이 선택, 단순한 일정일까요? 아니면 시대정신에 대한 응답일까요? 이재명의 첫 공식 행보 이재명 후보는 오늘, 서울 강남에 위치한 AI 반도체 설계 기업 ‘퓨리오사AI’를 방문했습니다. 이곳은 한때 **메타(페이스북의 모회사)**가 인수를 제안했지만, 거절한 기업으로 유명합니다. 그는 이 자리에서 AI 산업의 비전, 그리고 정부와 기업의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죠. 그런데 왜 하필, AI 반도체였을까요? 성장경제와 기술주권 이재명 후보 캠프는 이렇게 말합니다. “첫 공식 일정은 성장.. 2025. 4. 21.
유발 하라리의 유물론적 진화론적 시각 유발 하라리의 유물론적 진화론적 시각유발 하라리는 그의 저서 [사피엔스], [호모 데우스],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등을 통해 철저히 유물론적이고 진화론적인 시각에서 인류 역사와 미래를 해석합니다. 그는 인간의 의식, 자유의지, 윤리적 가치 등을 생물학적·진화적 산물로 간주하며, 형이상학적이거나 초월적인 요소는 배제하는 경향이 강하죠.이런 입장은 그의 분석을 과학적으로 보이게 하지만, 동시에 몇 가지 구조적 한계를 동반합니다.1. 환원주의적 오류: 인간의 정신적·문화적 현상을 생물학적·물질적 요소로만 설명하려는 경향이 강한데, 이는 인간 경험의 다면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종교를 ‘허구적 질서’(fictional order)로만 보는 시각은 종교의 실존적, 초월적 .. 2025. 3. 22.
피로사회를 읽고 피로사회 – 한병철 (등장인물: 나, 친구) 1. 현대사회는 ‘피로사회’야나: 요즘 너무 피곤하지 않아? 쉬어도 쉰 것 같지 않고, 뭘 해도 지친 느낌이야.친구: 완전 공감. 그냥 일이 많아서 그런 거 아닐까?나: 단순히 일이 많아서 그런 게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 자체가 ‘피로사회’ 라서 그래. 독일 철학자 한병철이 『피로사회』에서 이걸 정말 잘 설명했어.친구: 피로사회? 그냥 다들 바쁘고 힘들다는 뜻이야?나: 단순한 과로 사회가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를 착취하는 사회라는 거야. 예전에는 사회가 외부에서 강요하는 규율과 억압이 강했어. 하지만 지금은 강요하지 않아도 우리가 스스로를 착취해. 더 열심히 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면서. 2. 우리는 스스로를 착취하는 존재야 친구: 착취라면.. 2025. 3. 5.
최상목은 왜? 관료에게는 주인이 따로 없다! 최상목은 왜?    관료에게는 주인이 따로 없다!  관료에게는 주인이 따로 없다!봉급을 주는 사람이 그 주인이다!개에게 개밥을 주는 사람이 그 주인이듯일제 말기에 그는 면서기로 채용되었다남달리 매사에 근면했기 때문이다미군정 시기에 그는 군주사로 승진했다남달리 매사에 정직했기 때문이다자유당 시절에 그는 도청과장이 되었다남달리 매사에 성실했기 때문이다공화당 시절에 그는 서기관이 되었다남달리 매사에 공정했기 때문이다민정당 시절에 그는 청백리상을 받았다반평생을 국가에 충성하고 국민에게 봉사했기 때문이다나는 확신하는 바이다아프리칸가 어딘가에서 식인종이 쳐들어와서우리나라를 지배한다 하더라도한결같이 그는 관리생활을 계속할 것이다국가에는 충성을 국민에게는 봉사를 일념으로삼아근면하게 정직하게!성실하게 공정하게!「어떤 관.. 2025. 1.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