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하기

선물이란 무엇인가? – 데리다가 던진 역설

by 이번생 2025. 7. 27.
728x90
반응형

윌리엄 아돌프 부그로 – Charity (1865 또는 1878) 빈민을 자녀와 함께 보살피는 여성의 모습이 그려진 작품으로, 무조건적인 자비와 은혜의 이미지를 상징합니다. 은혜로운 사랑의 본질을 예술적으로 환기시켜주는 걸작입니다.

 

 

선물이란 무엇인가? – 데리다가 던진 역설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는 선물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과연 순수한 선물은 가능한가?”

데리다는 선물이란 단순히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주는 행위가 아니라고 말한다.
주는 자가 자신을 ‘주는 자’로 인식하거나, 받는 자가 자신을 ‘받는 자’로 인식하는 순간 
그것은 이미 교환의 관계로 변한다.

“주는 자가 ‘내가 준다’고 생각하는 순간, 주는 행위는 스스로를 보상하려 한다.
받는 자가 ‘내가 받았다’고 의식하는 순간, 그 사람은 이미 빚을 진다.”

이 역설 속에서 데리다는 결론을 내린다.

“순수한 선물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인간의 관계는 언제나 기억과 보답의 구조 안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장밥티스트 그르뢰즈 – La Dame de Charité (The Lady of Charity, 1773) 부유한 여성이 자녀에게 병든 노인에게 자선을 베풀도록 가르치는 장면을 담은 회화입니다. 무조건적인 선물의 교육이자 진정한 사랑의 실천입니다.

 

 

성경이 말하는 선물 – 은혜로 시작된 관계

 


그러나 성경은 전혀 다른 가능성을 보여준다.

누가복음 6:35에서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

“오직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고 선대하며 아무것도 바라지 말고 꾸어 주라.
그리하면 너희 상이 클 것이요, 또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 되리니
그는 은혜를 모르는 자와 악한 자에게도 인자하시니라.”

예수님은 주는 자의 의식을 지워버리라고 말씀하신다.
“빌려주되, 되돌려받을 생각을 하지 말라.”
“빌려줬다는 사실조차 잊어버려라.”

이것은 단순한 도덕적 교훈이 아니다.
하나님이 먼저 그렇게 하셨기 때문에 가능한 삶의 방식이다.

에베소서 2:8은 이렇게 말한다.

“너희가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토마스 게인즈버러 – Charity Relieving Distress (1784) 가난하고 고통받는 이를 돕는 과정 속에서 ‘은혜가 흘러가는 구조’를 감각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인간적 관습 너머로 흐르는 선물을 상징합니다.

 

 

증여의 사회학과 하나님의 방식

 


프랑스 인류학자 마르셀 모스(Marcel Mauss)는 고전적인 저서 증여론에서 이렇게 말한다.

“증여는 단순한 주고받기가 아니다. 주는 행위에는 반드시 보답해야 한다는 의무가 따른다.”

인간 사회는 주기-받기-되돌려주기의 관계망 속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인간 사회에서 ‘완전한 무상(無償)의 선물’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철학자 에마뉘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역시 인간이 타자 앞에서 느끼는 책임을 강조했다.
그는 “타자의 얼굴은 나로 하여금 응답하도록 부른다”고 말한다.
즉, 우리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언제나 책임과 의무를 느낀다.

이렇게 보면, 데리다의 “순수한 선물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은 더욱 설득력을 갖는다.

그러나 성경은 인간의 조건을 넘어선 하나님의 방식을 보여준다.
하나님은 우리가 아무것도 갚을 수 없을 때 먼저 주셨다.
그분의 선물은 보답을 요구하지 않는다.

 

기도 은혜의 상징 – 구도나 유사 종교화 기독교 구도나 성격의 종교화에서도 종종 ‘증여의 아이콘’을 볼 수 있으며, 선물이 가진 초월적인 의미와 가치를 시각화합니다.

 

 

사랑의 경제학 – 계산을 넘어서는 삶

 


세상의 경제는 계산과 이익으로 움직인다.
그러나 하나님의 경제는 은혜와 사랑으로 작동한다.

부모가 자녀를 위해 돈을 쓰면서 “꼭 갚아라”라고 하지 않는다.
아이의 필요를 채워주는 것 자체가 기쁨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우리를 그렇게 사랑하셨다.
그리고 우리 역시 하나님의 방식으로 살아가도록 초대받았다.

“아무것도 바라지 말고 꾸어 주라.”
(되돌려받을 생각조차 버리고, 빌려준 사실마저 잊어버리라.)

그렇게 할 때, 우리는 세상 사람들이 ‘바보 같다’고 말하는 방식으로 살게 된다.
그러나 그 바보 같은 삶이 바로 하나님 나라의 방식이다.

 

선물이란 무엇인가
아임 모로 – The Good Samaritan (1880) 선한 사마리아인의 율법 넘는 자비와 무조건적인 구제를 그린 작품입니다. 이는 예수님의 사랑의 경제학과 ‘되돌려받을 기대 없이 주는 삶’을 시각언어로 그렸습니다.

 

 

불가능한 선물의 가능성 – 은혜가 열어준 길

 


데리다는 말한다.

“순수한 선물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은혜는 그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든다.
우리가 이미 모든 것을 값없이 받았음을 알 때,
되돌려받을 필요 없이 흘려보낼 수 있다.

그때 우리의 삶은 단순한 증여를 넘어
하나님 나라의 은혜를 증언하는 선물의 삶이 된다.

 

 

 

삶을 위한 묵상 질문

 


1. 나는 누군가에게 준 것을 기억하며 보답을 기대하고 있지는 않은가?
2. 하나님께서 내게 베풀어 주신 은혜를 ‘갚을 수 없는 선물’로 받아들이고 있는가?
3. 오늘 나는 되돌려받을 기대 없이 누구에게 무엇을 줄 수 있을까?

 

선물이란 무엇인가
에드워드 번존스 – The Star of Bethlehem (1885–90) 동방박사들이 예수께 황금을 선물하는 장면을 그린 이 작품은, 신성한 선물의 상징성과 절대적 은혜를 시각적으로 전달합니다.

 

 


#데리다 #선물이란 #철학과신학 #증여 #은혜 #누가복음 #에베소서 #자크데리다 #마르셀모스 #레비나스 #선물의철학 #하나님의은혜 #그리스도인의삶 #사랑의경제 #묵상에세이 #신앙칼럼 #기독교철학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