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사색하기83

『피로사회』 오늘 하루, 나는 스스로에게 가장 큰 선물을 주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저 존재함으로써. 『피로사회』 자기 착취의 시대 햇살이 창문을 넘어 내 방 바닥 위로 부드럽게 스며든다. 나는 침대에 누워 천장을 바라보지만, 마음은 여전히 분주하다. 손에는 스마트폰이 놓여 있고, 화면 속 친구들의 삶은 완벽하게 설계되어 있다. 누군가는 새벽부터 달리기하고, 누군가는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며, 또 누군가는 브런치 카페에서 사진을 찍는다. 나는 그들을 바라보며 조급함과 불안을 동시에 느낀다. ‘나는 오늘 무엇을 했나? 나는 왜 이렇게 느리게 살아가는가?’ 스스로를 심판하는 마음이 침대 위에 무겁게 내려앉는다. 한병철은 이 시대를 ‘피로사회’라고 불렀다. 육체적 피로를 넘어, 스스로를 착취하는 정신적 피로가 사람들을 지배하는 사회. 우리는 외부 명령이 없어도 스스로를 몰아붙이고, 자기 개발과 자기.. 2025. 10. 14.
비워낼 수 없는 슬픔에 대하여 비워낼 수 없는 슬픔에 대하여슬픔이란,차라리 아파서 울 수 있다면 낫겠다고 생각할 때가 있다.그저 조용히, 말없이, 마음 구석에 주저앉아 있는 것.말 한마디로 풀리지 않고시간조차 그저 스쳐 지나갈 뿐, 닿지 못하는 감정.나는 그것을 지우려 했다.덮으려 했다.그러나 지우는 손끝이 점점 더 짙은 자국을 남겼고덮으려 한 마음은오히려 그 무게로 더 깊어졌다.너를 떠올리지 않으려 할수록모든 사물에 너의 흔적이 깃든다.햇살이 머문 커튼 자락에도,식탁 위에 식지 않은 찻잔에도,익숙한 침묵 속에도,네가 있다.사람들은 말한다.시간이 다 해결해줄 거라고.하지만 어떤 슬픔은시간에 맡길 수 없다는 것을나는 안다.시간은 위로가 되기보다그리움을 더 조용히 퇴적시킨다.비워낼 수 없는 이 감정은어쩌면 내 안에 살아 있는 또 하나의 .. 2025. 7. 25.
정치인은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정치인은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공공성, 신뢰, 그리고 정치적 정당성에 대한 철학적 고찰 정치인은 공공의 권력을 위임받아 행사하는 존재이며, 따라서 그 권력의 정당성은 단지 법적 요건의 충족을 넘어서 윤리적 기준에 의해서도 판단된다. 이 글은 “정치인은 항상 도덕적이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출발점으로, 정치적 행위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도덕적 기준이 무엇인지, 특정 정치인의 행위가 그 기준을 벗어났을 때 정치적 생명을 중단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철학적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플라톤, 마키아벨리, 칸트, 막스 베버, 롤스 등 주요 정치철학자들의 이론을 검토하며 정치와 윤리의 관계, 그리고 책임과 신뢰의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한다.정치와 도덕: 분리 가능한가? 고대 정치철학에서부터 .. 2025. 7. 24.
독서 – 지성의 폐활량, 언어의 해상도, 사고의 분기점을 키우는 일 독서 – 지성의 폐활량, 언어의 해상도, 사고의 분기점을 키우는 일 우리는 하루에도 수백 개의 정보를 보고 듣는다. 뉴스의 헤드라인, SNS의 짧은 글귀, 댓글 창에서 오가는 감정들, 유튜브의 자극적인 콘텐츠들. 이 빠르고 거센 정보의 파도 속에서 우리는 무언가를 ‘읽고’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실은 점점 덜 생각하고, 덜 사유하며, 덜 깊어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럴 때 독서는 유일하게 남은 ‘느린 통로’다. 종이의 질감, 문장의 구조, 한 문단에서 다음 문단으로 건너가는 긴 호흡. 독서는 순간순간 스스로에게 묻고,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지성의 복식호흡이다. 단순히 정보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사고의 방식 자체를 바꾸는 일이다. 그래서 나는 독서의 진짜 효능을 다음 세 가지로 말하고 싶다. .. 2025. 7.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