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178

요나 장별 중요 구절 및 핵심정리 요나 장별 중요 구절 및 핵심정리 요나는 아밋대의 아들이며, 북이스라엘의 여로보암 2세 시기(열왕기 14:23~25)에 활동한 선지자로,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의 멸망을 예언하고 회개를 촉구했습니다. 그의 니느웨 전도는 하나님께서 모든 민족에게 복음을 전하기를 원하신다는 사실(마태복음 28:18~20)을 보여줍니다. 선지자 요나는 가드헤벨 출신으로, 열왕기하 14장 25절에 그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며, BC 760년경 북이스라엘에서 활동했습니다. 여로보암 2세가 당시 북이스라엘의 왕이었고, 요나의 이름은 '비둘기'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요나 1장 중요 구절 및 요약 ☞ [욘1:1, 2 ,12 ,14]1. 여호와의 말씀이 아밋대의 아들 요나에게 임하니라 이르시되 2. 너는 일어나 저 큰 성읍 니.. 2024. 8. 22.
주체성과 사교성이 풍부한 사람 주체성과 사교성이 풍부한 사람 누구든지 하나님을 사랑하노라 하고 그 형제를 미워하면 이는 거짓말하는 자니 보는 바 그 형제를 사랑하지 아니하는자는 보지 못하는 바 하나님을 사랑할 수 없느니라 (요일 4:20) 사람의 성품에는 주체성과 사교성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가 모두 잘 발달한 사람은 성숙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격은 주체성과 사교성으로 구분된다. 주체성은 자신의 신념을 의미하고, 사교성은 타인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주체성과 사교성을 모두 갖춘 사람은 성숙한 자유인이다. 그러나 주체성은 강하지만 사교성이 부족한 사람은 고집이 세고, 반대로 사교성은 좋지만 주체성이 부족한 사람은 우유부단하다. 이 두 가지 모두 부족한 사람은 삶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건강한 사람은 자신만의 신념을 지키면서.. 2024. 8. 21.
최치원의 재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최치원의 재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자연은 승자와 패자를 모두 따뜻하게 품어준다. '선비'는 삼국시대 무렵부터 중국에서 공부했거나 유가의 영향을 받은 학자들을 의미하며, '선비 정신'도 그 시기에 형성되었다. 신라의 유학자 최치원은 "지혜로운 사람은 가난해도 즐거워하고, 어리석은 사람은 부유해도 근심이 많다"라는 말을 남겼다. 하지만 이 말의 실천은 결코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최치원이 자신의 시 〈제가야산독서당〉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狂奔疊石吼重巒 광분첩석후중만 人語難分咫尺間 인어난분지척간 常恐是非聲到耳 상공시비성도이 故敎流水盡籠山 고교유수진농산 '겹겹이 쌓인 돌 사이로 거친 물소리가 봉우리들 사이를 울리네. 사람의 목소리가 가까이 있어도 분간하기 어렵네. 시시비비가 들려올까 두려워 온 .. 2024. 8. 20.
에레미야애가 핵심 구절 및 요점 정리 에레미야애가 핵심 구절 및 요점 정리 예레미야 애가는 예레미야 선지자가 예루살렘이 바벨론에 의해 멸망한 후의 상황을 노래한 시가서입니다. 이 책은 슬픔과 애통, 그리고 회개의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다섯 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첫 번째 애가 (1장) : 예루살렘의 황폐한 모습 【애1:4~5, 10, 15】 4. 시온의 도로들이 슬퍼함이여 절기를 지키려 나아가는 사람이 없음이로다 모든 성문들이 적막하며 제사장들이 탄식하며 처녀들이 근심하며 시온도 곤고를 받았도다 5. 그의 대적들이 머리가 되고 그의 원수들이 형통함은 그의 죄가 많으므로 여호와께서 그를 곤고하게 하셨음이라 어린 자녀들이 대적에게 사로잡혔도다 10. 대적이 손을 펴서 그의 모든 보물들을 빼앗았나이다 주께.. 2024. 8. 19.
728x90